🔔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5829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1 초 512 MB 24062 7505 6414 31.118%

APC에 온 것을 환영한다. 만약 여러분이 학교에서 자료구조를 수강했다면 해시 함수에 대해 배웠을 것이다. 해시 함수란 임의의 길이의 입력을 받아서 고정된 길이의 출력을 내보내는 함수로 정의한다. 해시 함수는 무궁무진한 응용 분야를 갖는데, 대표적으로 자료의 저장과 탐색에 쓰인다.

이 문제에서는 여러분이 앞으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해시 함수를 하나 가르쳐주고자 한다. 먼저, 편의상 입력으로 들어오는 문자열에는 영문 소문자(a, b, …, z)로만 구성되어있다고 가정하자. 영어에는 총 26개의 알파벳이 존재하므로 a에는 1, b에는 2, c에는 3, …, z에는 26으로 고유한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하나의 문자열을 수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문자열 “abba”은 수열 1, 2, 2, 1로 나타낼 수 있다.

해시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 우리는 문자열 혹은 수열을 하나의 정수로 치환하려고 한다. 간단하게는 수열의 값을 모두 더할 수도 있다. 해시 함수의 정의에서 유한한 범위의 출력을 가져야 한다고 했으니까 적당히 큰 수 M으로 나눠주자. 짜잔! 해시 함수가 완성되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H=∑i=0l−1aimodM[H = \sum_{i=0}^{l-1}{a_i} \mod M] 
image

해시 함수의 입력으로 들어올 수 있는 문자열의 종류는 무한하지만 출력 범위는 정해져있다. 다들 비둘기 집의 원리에 대해서는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그 원리에 의하면 서로 다른 문자열이더라도 동일한 해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해시 충돌이라고 하는데, 좋은 해시 함수는 최대한 충돌이 적게 일어나야 한다. 위에서 정의한 해시 함수는 알파벳의 순서만 바꿔도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에 나쁜 해시 함수이다. 그러니까 조금 더 개선해보자.

어떻게 하면 순서가 달라졌을때 출력값도 달라지게 할 수 있을까? 머리를 굴리면 수열의 각 항마다 고유한 계수를 부여하면 된다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볼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항의 번호에 해당하는 만큼 특정한 숫자를 거듭제곱해서 곱해준 다음 더하는 것이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H=∑i=0l−1airimodM[H = \sum_{i=0}^{l-1}{a_ir^i} \mod M] 
image

보통 r과 M은 서로소인 숫자로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가 직접 정하라고 하면 힘들테니까 r의 값은 26보다 큰 소수인 31로 하고 M의 값은 1234567891(놀랍게도 소수이다!!)로 하자.

이제 여러분이 할 일은 위 식을 통해 주어진 문자열의 해시 값을 계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함수는 간단해 보여도 자주 쓰이니까 기억해뒀다가 잘 써먹도록 하자.

입력

첫 줄에는 문자열의 길이 L이 들어온다. 둘째 줄에는 영문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들어온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문자열은 모두 알파벳 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다.

출력

문제에서 주어진 해시함수와 입력으로 주어진 문자열을 사용해 계산한 해시 값을 정수로 출력한다.

Small (50점)

  • 1 ≤ L ≤ 5

Large (50점)

  • 1 ≤ L ≤ 50

예제 입력 1

5
abcde

예제 출력 1

4739715

예제 입력 2

3
zzz

예제 출력 2

25818

예제 입력 3

1
i

예제 출력 3

9

힌트

예제 1: abcde의 해시 값은 1 × 310 + 2 × 311 + 3 × 312 + 4 × 313 + 5 × 314 = 1 + 62 + 2883 + 119164 + 4617605 = 4739715이다.

예제 2: zzz의 해시 값은 26 × 310 + 26 × 311 + 26 × 312 = 26 + 806 + 24986 = 25818이다.

출처

University > 아주대학교 > 2018 Ajou Programming Contest: Division 2 C번

알고리즘 분류


🔐 해결 (소스 코드)

나는 아스키 코드 값을 반환해주는 ord라는 함수를 활용해서 문제를 풀었다.
처음에는 문제에서 mod M (M의 값은 1234567891) 이 부분을 놓쳐서 아래와 같이 제출하고, 50점을 받았다.

# 50점짜리 답안
L = int(input())
alphabets = input()
result = 0

for i in range(L):
    # ord함수로 아스키코드 값을 반환
    # a~z는 97~122 이므로 96을 빼주면 원하는 숫자로 매칭됨
    result += (ord(alphabets[i]) - 96) * (31 ** i) # 힌트 예제 1 참고

print(result)

50점을 맞고, 놓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고 다시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서 정답 처리가 되었다.

############################ 정답(100점) ############################
L = int(input())
alphabets = input()
result = 0

for i in range(L):
    result += (ord(alphabets[i]) - 96) * (31 ** i) # 힌트 예제 1 참고

print(result % 1234567891)
# mod는 나머지 연산을 의미함.
# 결과값과 숫자 M인 1234567891과 나머지 연산을 해주면 됨. 

50점짜리 답안과 비교했을 때 바뀐 부분은 마지막 print 함수 부분 밖에 없다.


📝 후기

문제를 풀 때 문제를 꼼꼼히 잘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50점짜리 답안과 완벽한 정답의 차이가 코드로는 별 차이가 없는데, 정답으로써는 하늘과 땅 차이가 되었다.
(물론, 백준이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보다 좀 빈약한 건 사실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꼼꼼히 문제를 보고, 문제대로 잘 풀어내야되겠다.


👣 참고하기

프로그래머스 Lv.1: 완주하지 못한 선수 문제 풀이 보기 (해시)

맨 위로 이동하기

Leave a comment